M&A는 중소기업이 스케일업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고, M&A시장 활성화는 혁신성장 선순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다.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M&A를 기업사냥, 가업상속을 위한 변칙적인 수단, 기술탈취 등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정서가 많다. 이에 따라 기술과 경영 노하우·고용인력 등 우수한 기업자원을 더 크게 활용하지 못하고, 산업발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이 나온다.
더불어민주당 정은혜 의원과 중소기업연구원이 23일 개최한 ‘중소벤처기업 M&A활성화 정책’ 토론회에서 나수미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‘M&A를 통한 벤처투자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’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“스타트업 M&A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보비대칭 상황을 해소하고, 각 시장 참여자들의 역량 및 유인을 강화함과 동시에 창업과 성장 단계부터 M&A회수를 고려한 정책지원이 요구된다”고 주장했다.
미국 경제를 견인하는 실리콘밸리의 벤처투자생태계는 ‘창업-성장-회수’ 각 단계별 시장이 고르게 발달했다. 특히 활성화된 회수시장은 실리콘밸리 벤처투자생태계 선순환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. IPO를 통한 회수의 경우 평균적 13~15년의 기간이 소용되는데 반해, M&A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내에 투자금 회수가 가능하다. 성공적으로 안착한 중소벤처기업 창업자는 M&A를 통한 수익을 재투자함으로써 벤처투자생태계 선순환에 기여한다.
창업단계에 집중된 지원, 회수 통한 재투자 선순환 구조 만들어야
지난해 기준 중소기업진흥공단 예산의 58%가 창업단계에 집중됐다. 창업지원에 쏠린 정부지원이 지금까지 창업단계에서 마중물 역할을 했다면, 이제는 회수를 통해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로 바꿔야 한다는 게 나수미 연구위원의 주장이다.
글로벌 경제전문지 블룸버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한민국 M&A시장은 약 73조원으로 1515건의 M&A가 이뤄졌다. 전년대비 10.3% 증가했으며, 거래금액 및 투자회수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. 하지만 미국 등 선진국의 높은 투자회수율에 비해, 한국의 투자회수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.
내비게이션 서비스 ‘김기사’를 개발한 록앤올 창업자 그룹은 김기사를 카카오에 매각한 후, 김기사컴퍼니를 새로 세우고 공유사무실 스타트업으로 재창업했다. 나 연구위원은 M&A시장 활성화를 통해 회수시장에서 창업생태계로 이어지는 재투자 폭포를 일어날 때, 민간주도의 혁신생태계로 전환된다고 말했다.
M&A시장 활성화를 저해하는 복합적인 요인들
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국내에서 M&A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복합적이라는 게 나 연구위원 분석이다. ▲대기업의 불공정한 경쟁 관행 ▲중소벤처기업 기술과 인력의 탈취 문제 ▲대규모 기업집단의 시장지배력 및 지배구조 문제 등이 M&A 활성화를 제약한다는 주장이다. 이같은 이유로 대기업은 국내 스타트업 M&A를 주저하고, 해외 M&A시장으로 눈을 돌린다. 결국 국내 M&A시장은 수요자 중심이 돼, 국내 스타트업이 저평가 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.
스타트업 입장에서는 매각 의향이 있어도 방법을 모르고, 전문인력에 대한 접근성도 낮다. 스타트업 가치평가 역시 객관성이 떨어진다. 또 중소기업의 경우 M&A를 통한 사업매각을 사업실패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. M&A 의사가 있는 중소기업을 물색하고, M&A 거래가 종결될 때까지 지원하는 전문중개인도 없어 M&A 활성화가 어려운 환경이다.
성공적인 M&A 조건…적정가치·상호이익·공정거래
성공적인 M&A란 어떤 경우를 의미할까. 나 연구위원은 성공한 M&A는 양 기업간 상호이익을 도모하는 인수합병은 ▲적정 가치 인정 ▲공정한 거래 과정 ▲기업간 상호이익 부합(상생M&A) 등을 조건으로 한다고 말했다.
출처 | M&A활성화 기업사냥이란 부정적 인식 바꿔야 - 중기이코노미 (junggi.co.kr)